취업 일기 4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6 (교육 후기)

오늘부로 모든 교육과정이 종료되었다. 1. 프로젝트 발표 이론 교육 때 계획했던 '치자로 관절염 만들기 대작전' 프로젝트에 대해 발표했다. 우선 천연물질과 지표물질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추출 방식, 지표물질 분석(HPLC)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그리고 추출물의 세포독성(MTT assay), 항염(NO assay) 및 항산화(DPPH assay) 효과에 대한 시험 결과에 대해서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이전에 계획했던 것과 실제로 프로젝트 실습을 하면서 달라진 시험 조건 및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예상 결과와 실제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 발표했다. 덧붙여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어떤 연구가 더 필요한지 보완할 점을 이야기하며 마무리했다. 개인적으로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다른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의약바이오 취업 캠프] - Day8(2)

5. NO assay 어제 cell treat로 LPS 처리를 한 cell이 생성한 NO의 양을 확인한다. Griess reagent 처리를 하고,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방법 1. cell treat 했던 96 well plate의 각 well에서 상등액 100㎕씩을 새로운 96 well plate에 옮겨준다. 2. 96 well plate에 남은 칸에 배지를 100㎕ 씩 5칸 깔고, 맨 왼쪽에 Sodium nitrite 200uM 100㎕를 넣어주고 2-fold dilution 한다.(Standard curve로 사용한다.) 3. 옮긴 상등액과 Sodium nitrite가 들어간 칸에 griess agent 100㎕ 씩을 넣어 섞어준다. 4. ELISA Reader를 사용해 54..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8(1)

드디어 금요일... 이번주의 마지막 날 시작! 1.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기기실습 원리: 특정 물체는 빛이 물체에 부딪혔을 때 고유의 구조 때문에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거나 투과한다. 분광광도계를 통해 물질 고유의 투과도와 흡광도를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Beer의 법칙으로 화합물 고유의 몰흡광계수와 흡광도의 관계를 통해 미지 시료의 농도도 구할 수 있다. 이때는 다른 농도를 가진 표준물질들로 검정곡선을 만들어 이용한다. 방법 1. 메틸오렌지, 브릴리언트 블루, 지표물질(geniposide)를 각각 D.W.에 1mg/ml로 희석해 sample을 준비한다. 2. 큐벳에 blank로 사용할 D.W.를 넣고 큐벳을 분광광도계에 넣은 후 작동시킨다. (빛이 통하는 투명한 옆면의 방향..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7

일주일 중 가장 힘들다는 목요일... 7일차 시작 1. TLC - 박막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아세트아미노펜 표준품과 시중의 3가지 의약품(펜잘Q, 타이레놀, 타나센)의 아세트아미노펜을 정량, 정성한다. 방법 1. 이동상(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1) 100ml 제조 후 유리 밀폐용기에 넣고 뚜껑을 덮는다. 2. TLC 판 하단부로부터 1cm 떨어진 부분을 연필로 직선 표시한 다음 직선을 1.5cm 간격으로 점을 찍어 나눈다.(여기에 sample 이름을 표시한다.) 그리고 하단부로부터 11cm 떨어진 부분에 연필로 표시한다. 3. 아세트아미노펜과 의약품 샘플(정량 후 메탄올로 1mg/ml으로 녹임)을 1.5ml tube에 20㎕씩 넣고 파스퇴르 파이펫을 이용해 찍어 놓은 점에 한 방울 넣고 드라이어로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