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 일기 15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5

교육 마지막 주가 다가왔다. 1.HPLC 실습 - 비타민 C 정량분석 이번엔 비타민 C이다. 준비물 전개액(50mM KH2PO4 : ACN = 6 : 4), Ascrobic acid, Metaphosphoric acid, 비타민 C tablet, 막자사발 세트, 0.45㎛ 필터 방법 1. Ascrobic acid 20mg을 5% Metaphosphoric acid 10ml에 녹인다. (2mg/ml) 2. 3,000rpm,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해서 새 tube에 옮긴다. 3. 5% Metaphosphoric acid를 사용해 5, 10, 20㎍/ml로 희석한다. 4. 비타민 C tablet 1정을 막자사발을 이용해 빻은 뒤 10% Metaphosphoric acid 10ml로 녹인다. 5. 이..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4

기존에 예정됐던 미생물 QC 실습이 강사님 회사의 실사로 인해 뒤로 미뤄져 주말에 진행되었다. 나도 미래에 직장인이 됐을 때 실사가 잡히면 어쩔 수가 없겠구나 싶었다... 암튼 14일차 시작! 미생물 품질관리 실습 1. 배지 적합성 시험 - TSA, SDA 배지 전에 만들어 둔 고체 TSA, SDA 배지가 균주를 배양하는 데 적합한지 검증한다. TSA 배지는 주로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하고, SDA(C) 배지는 진균을 배양한다. 이번 시험에서는 TSA 배지는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4종류, SDA 배지는 Candida albicans 1종류를 접종했다. 한 균주당 2개의 배지를 사용..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3

1. 대한민국 약전 실습 대한민국 약전에 있는 공정서를 기준으로 의약품의 성상을 확인하고, 확인시험과 함량시험을 통해 의약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실습을 했다. 품질관리 기록서와 시험일지를 직접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시험대상 제품은 1) 점안액(아이리스 플러스 점안액), 2) 필름 코팅 정제(에스 알비디 정) 두 가지이다. - 품질관리 기록서 구성: 개정 번호(역추적이 가능하도록), 제조단위(한 번에 생산하는 의약품의 양), 제조번호, 제조일자, 시험의뢰일, 시험의뢰 번호, 접수일자, 시험 번호, 검체 채취장소, 검체 채취일, 검체 채취량, 검체 체취자, 작성일자, 작성자, 승인자 등의 기본 사항을 적게 되어있다. 이때 원본과 사본을 구분하기 위해 파란색 볼펜으로 작성한다. 품질관리 기록서의 첫 장은 ..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2

1. HPLC 실습 - 아세트아미노펜 정량 지난 시간에 TLC, spectrophotometer에 이은 아세트아미노펜 검출로 이번엔 HPLC를 이용했다. 이동상은 D.W. : 메탄올 = 3 : 1 용액을 사용했다. 검액으로는 각 조마다 아세트아미노펜을 standard로 2.5, 5, 10㎍/ml의 농도로 만들고, 펜잘 큐, 타이레놀, 타나센 정은 각 10㎍/ml의 농도로 이동상에 녹여 준비했다. 이후 1.5ml/min의 유속으로 진행하며 243nm에서 관찰했다. 2. DPPH assay DPPH assay는 항산화능 즉, 활성산소(free radical)를 얼마나 제거할 수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수행한다. 활성산소는 몸속의 산소가 산화과정에 이용되어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생체조직을 공격..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1

1. 모의면접 면접 컨설팅을 해주시는 강사님께서 오셨다. 처음엔 15명의 교육생들이 각자 면접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민이나 질문들을 물어보면 그에 맞는 답을 해주시면서 대화를 나눴다. 이후엔 각 조별로 모의 면접을 봤다. 1조가 면접자, 2조가 면접관, 3조는 면접자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면서 진행했다. 사실 약간 긴장을 했는데 다들 긴장한 티가 안 났다고 했다. 표정이 잘 드러나지 않아서 인상이 좀 안 좋게 보이거나 간절하지 않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부분은 스스로 영상을 찍어가면서 고쳐야겠다. 면접은 많이 보는 게 답이라는 말이 왜 그런지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이번 기회로 남들과는 다른 나의 장점이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자연스럽게 어필할 수 있는지 고민할 수 있었다. 참 유익한 ..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10

10일차 시작! 1.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기기실습 - 아세트아미노펜 정량 기구 및 시약 - 아세트아미노펜, D.W., 석영 큐벳, 분광광도계, 타이레놀, 펜잘큐, 타나센 방법 1. D.W.를 이용하여 아세트아미노펜(1mg/ml)과 의약품 샘플(1mg/ml)을 각각 10㎍/ml의 농도로 희석한다. 2. 석영 큐벳에 D.W.㎕를 넣어 blank reference를 잡고, 이후 희석한 각 샘플 200㎕을 사용하여 흡광도(243nm)을 측정한다.(측정한 아세트 아미노펜 샘플의 양은 2㎍이다.) 3. 측정한 흡광도 값을 아래 결과 판독 식에 대입하여 아세트아미노펜의 함량을 구해보고, 실제 의약품의 아세트아미노펜 함량과 비교해본다. 결과 판독 식 - 간단한 비례식이다. 의약품 내 아세트아미..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9

어느덧 교육이 3주차에 접어들었다. 1.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기기실습 - EtOH 정량 원리: 크로뮴산과 에탄올은 1:1로 반응한다. 이때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 무색의 크로뮴산은 청록색의 크로뮴으로 변한다. 이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에탄올을 크로뮴산과 반응시켜 standard 샘플을 만들어 standard curve를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지 에탄올 시료의 농도를 구한다. 방법 1. 10, 15, 20, 25% 에탄올 용액과 미지시료를 각각 1ml씩 50ml 튜브에 담는다. 2. 각각의 튜브에 10ml의 크로뮴산 용액을 넣고 20분간 잘 흔들어서 섞어준다. 3. 피펫으로 위의 용액 1ml씩 새로운 15ml ..

[의약바이오 취업캠프] - Day6(2)

오전까지는 평화로웠지만 지옥의 오후였다... 그 이유는 바로 3. MTT assay 결과 분석 흡광도 수치를 엑셀로 다운받아 정리하고 그래프를 그린다. 1) raw 데이터 정리 drug를 지표물질, 추출물 1, 추출물 2의 3종류로 처리를 했기에 각각의 흡광도를 엑셀로 다운받았다. 우선 첫 번째 칸(지표물질) 데이터를 정리하겠다. 2) blank 구하기 - DMSO만 넣어준 마지막 칸들의 흡광도 평균이 blank이다. 3) blank 빼주기 1. 수식을 걸어서 각각의 흡광도에서 blank를 빼준다. (F4키를 누르면 수식에서 blank를 고정시킬 수 있다.) 2. 1의 정리된 데이터에서 각 열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수식을 걸어서 구해준다. 3. 2에서 구한 평균들을 드레그 해서 막대 그래프를 그려준다. 4..

[의약바이오 취업 캠프] - Day6(1)

6일차. 시작! 1. Cell seeding - 항염 효능 평가를 위한 cell seeding 항염 효능 평가는 LPS로 NO 생성을 유도한 후, drug를 처리해서 얼마나 NO 생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한다. 96 well plate에 지표물질과 천연물 2개를 각각 test한다. 목표 농도는 5x10^5 cell/well = 5x10^6 cell/ml이다 => M’ 사용할 양은 각 well 당 100㎕이고, 60개의 well을 사용하므로 6ml 필요하지만 넉넉하게 10ml로 잡았다. => V’ 현재 cell의 농도와 얼마를 사용할 지 정하기 위해 MV=M’V’식을 이용한다. 방법 자체는 MTT를 위한 cell seeding과 비슷하지만, 이번엔 cell 농도가 더 높다. 1. subculture한 세포를 ..

[의약바이오 취업 캠프] - Day5

어느 덧 5일차 날씨도 제법 선선해졌다. 1. HPLC 결과 확인 - 어제 작동시킨 HPLC의 결과를 확인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분 이후부터는 기울기 비율을 초기 비율로 reset하고 안정화하는 구간이므로 특정 물질을 검출했다고 할 수 없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target인 geniposide이다. 이 부분을 가지고 검정 곡선을 만들어 농도를 구했다. 추출물의 geniposide 농도를 구해보니 4.52%, 4.57%가 나왔다. 최소 2.9%는 나와야 정상이라고 하니 농도는 정상적으로 나온 셈이다. 하지만,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1. 피크가 너무 낮게 나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 standard의 농도를 높게 하고, 천연물을 기존에 1000배, 2000배에서 500, 250배로 조정한..